본문 바로가기

TA4

2년간의 라이팅 아티스트 활동 기록 스크립팅 공부와 함께 렌더 라이팅 공부를 하면서 라이팅 실무 작업이 하고 싶어졌다.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 입사한 지도 2년이 지나서어느덧 이 직무의 매력을 차차 알아가는 중이다. 골드프레임이라는 곳에서 1년 반을 있었고, 지금은 언리얼을 쓰는 회사에서 라이팅을 하고 있다. 소개로 계약직으로 들어와서 가능하면 안정적인 곳으로 이직을 하고 싶기도 하고, TA를 마저 꾸준히 준비할까 싶기도 하다. 원래 신입을 잘 안뽑는 직무기도 하니까! 뮤비, 시리즈 작업 하다가 2023~4년에 했던 사랑의 하츄핑 작업. 운좋게 좋은 프로젝트를 만났다. 기간이 짧고 작업자들이 힘들긴 했지만 모든 작업이 마감때 되면 힘든 편이니.. TA님, 팀장님과 시니어 분이 참 고생이 많으셨다. 그 외에도 툰스타일 애니, 광고, 뮤직비.. 2025. 7. 10.
[3ds Max] Modifier List에서 wave/FFD/bend 등으로 만든 애니메이션 fbx로 출력하기 3ds Max에서, Modifier List에서 애니메이션을 적용시킨 오브젝트를 뽑아내도 바라는 대로 움직이지 않는다. 그 이유는 맥스에서 사용하는 Modifier를 다른 프로그램이나 출력 방식에 옮겨 담을 수 없기 때문일거다. 알아보진 않았지만 그렇겠지?? 아시는 분 있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세요! 하지만 이렇게 곤란한 상황에서도 해결법은 있었다. 인터넷 뒤지다가 외국인 유튜브에서 찾았다! 방법을 요약하자면, 적용된 상태를 1프레임씩 나누기 -> 처음 상태의 obj를 Morpher 적용 -> Max script를 이용해 하나씩 넘어가도록 잇기 -> 출력 메인툴바에서 우클릭하면 숨겨져 있던 다른 툴들이 있다. 그중 툴들을 누른다. 이상태에서 애니메이션이 들어있는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툴바의 맨 오른쪽 버튼을.. 2020. 3. 10.
유니티 셰이더의 이해(미완) 우리는 보통 모델링에 텍스쳐를 발라서 유니티에 가져온다.하지만 처음 유니티에서 보면, 생각한 것 만큼 멋있어 보이지 않을 때가 있다. 그럴때 보통 머티리얼을 만져주면 되는데,머티리얼 조절 창을 보면 이건 뭐고 이건 뭐지..싶을 때가 많다. 처음엔 그래서 쉐이더 공부를 해야지 했는데 팀작업 하니까 쓸 일이 많더라...꼭 배워야할 것 같았다.또머티리얼마다 구성요소가 다를 때가 있다. 머티리얼은 쉐이더가 어떻게 짜여 있느냐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결국 다 스크립트인 거지... 피할 수 없으면 즐겨야겠다 쉐이더? 셰이더? 뭐라고 적지 유니티에서 만든 ShaderLab(쉐이더랩)이라고 하는 스크립트 언어를 배우면 된다! 2020. 1. 4.
테크니컬 아티스트란 게임 개발..또는 어떤 컨텐츠 제작에 있어 아티스트의 역량과 프로그래머의 역량을 반반씩 가진 사람이다. 지금 다니는 학부와 정말 잘 맞는다고 해야 할까. -숭실대의 글로벌미디어학부 -동국대의 멀티미디어공학과 등 같은 경우가 이 직무와 비슷한 걸 배운다. 프로그래밍 분야와 예술적인 분야의 달인까지는 아니지만, 어느정도의 실력이 요구된다. 무엇보다 두 분야를 연결할 수 있는 지식과 유연함이 필요할 것 같다. *TA의 직무 프로그래밍 분야) -셰이더 작성(제작 툴이나 HLSL언어) -스크립팅(MAX script, MEL script, python) -인하우스 툴 개발(엔진이나 툴에 추가되는 기능들..) -아트-프로그램 디버깅 -애셋 최적화 아트 분야) -라이팅(라이트 배치 및 설정) -아트 컨텐츠 제작(애셋 .. 2020. 1. 4.